본문 바로가기

보증금 2억, 이자 400만 원 절감? 맞벌이 신혼부부가 선택한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

Proh1 2025. 4. 5.

맞벌이 부부가 선택한 '서울시 전세자금 이자지원'

신혼부부
신혼부부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은 효과적인 지원 정책입니다. 특히 서울에서 전세금이 높아져 가는 상황에서 보증금이 부족한 청년 혹은 신혼부부에게 있어서의 주거비 부담은 상당한 수준입니다. 이에 대한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은 나에게 있어 좋은 주거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막연한 제도가 아닌,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주거비 절감이 어떤 식으로 가능한지 숫자와 함께 재무적 관점에서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두 아이를 키우는 맞벌이 신혼부부 (사례분석)

현재는 맞벌이 소득활동으로 지원이 이뤄지지 않지만, 신혼 초창기 때 이 제도를 이용한 회사 후배가 있었습니다. 당시 이에 대한 지원사업을 신청하고 싶었지만, 저는 지원자격에 들어가지 못하여 이용하지 못했었는데요. 지원사업의 효과는 큽니다. 물론 주거지원을 하는데 있어 중복수혜는 불가하게끔 설계가 되었지만, 지원받는 수혜자의 입장은 상당히 좋습니다.

실제매물 3억 / 30만 APT

전용 37.67㎡  아파트 사례 비교 (실제 매물)

[소득 350만 원, 순자산 1억 원 가정]
Case 1. 월세 : 보증금 1억 원 / 월세 85만 원
Case 2. 월세 : 보증금 3억 원 / 월세 30만 원
항목 Case 1. (보증금 1억 / 월세 85만) Case 2. (보증금 3억 / 월세 30만)
총 필요 보증금 1억 원 3억 원
대출 필요 금액 - 2억 원 (보증금 충당 목적)
서울시 이자지원 적용 전
(대출이자 3.5% 기준)
- 약 58만 원/월
서울시 이자지원 적용 시
(실부담 금리 1.5% 적용)
- 약 25만 원/월
월세 85만 원 30만 원
총 주거비용 85만 원   약 55만 원  
절감 효과     월 약 30만 원 절약  
소득 대비 주거비 비율 약 31%   약 16%  

소득 350만 원 기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혜택 시
주거비용 월 30만원 절감, 주거비 부담 비율 10% 이상 감소


2억 대출 비교 (일반은행 VS 버팀목전세자금 VS 임차보증금이자지원)

비교항목 시중 일반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
연 금리 수준 약 3.5% 1.8% ~ 2.4%  실부담 약 1.5% (최저 1.0%) 
연 이자 비용 약 700만 원 약 360만 ~ 480만 원  약 300만 원 
월 이자 비용 약 58만 원 약 30만 ~ 40만 원 약 25만 원
신청 조건 제한 없음 (신용 등급 기준) 연소득 5천만 이하 등 조건 엄격 만 19~39세 / 무주택 / 연소득 4천 이하
대출 은행 대부분 시중은행 우리, 기업, 농협 등 일부 은행 하나은행 단독 협약
지원 방식 이자 전액 본인 부담 정부지원 낮은 금리로 대출 이자 일부(최대 3%)를 서울시가 지원

현재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을 받을 수 없다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알아보시는게 중요합니다.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의 경우 지방의 경우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의 이용 가능한 전략은 HUG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입니다.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신청, 어렵지 않아요!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은
신청자격을 확인, 추천서 신청, 대출가능 여부 확인, 전세계약 순서
로 진행됩니다.

  • 신청 자격: 서울시에 거주 또는 거주 예정, 일정 소득 이하의 무주택자, 청년·신혼부부·다자녀 가정 등
  • 신청 시기: 연중 상시 가능 (예산 소진 전 신청 추천)
  • 서류: 기본 신분증, 소득서류, 가족관계 증명서, 임대차계약서 등
  • 접수 방법: 서울주거포털 or 관할 자치구
추천서 신청 → 대출가능 여부 확인 (하나은행) → 전세계약 → 이사, 대출실행

재무상담사의 한마디

청년들에게 많은 지원과 정책들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많은 청년들이 이러한 정보를 모른체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독립한 후 주거지 마련에 있어 경험이 적은 청년들에게 있어서 대출이란 부분은 낯설기 마련인데요. 세상이 많이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비용의 절감을 위한 노력을 많이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의 지원 혜택을 '먼저 확인하고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현명한 재무전략 입니다.특히 청년 그리고 신혼부부에게 있어서 매달 10만 원, 20만 원의 비용절감은 중요합니다. 10만 원 절약하여 1년이면 120만 원을 모을 수 있는데요. 120만 원 이라는 돈을 이자로 받기 위해서는 2% 금리로 가정할 시 6,000만 원 예금이 필요합니다. 저금리 시대에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일 수 있습니다.

120만 원을 이자로 받기 위해서는
**2% 금리 적용, 6천만 원의 예금**이 필요
합니다.

청년, 신혼부부에게 주거비용의 절감은
미래 종자돈, 자산형성을 위한 아주 중요한 재무전략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진행중인 청년,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 개요, 자격, 방법, 효과]

 

2025 서울 청년,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 (사업 개요, 자격, 신청방법, 효과)

「 2025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완전정리 」🏠 "전세이자, 이렇게 아끼는 거였어?"서울살이를 준비 중인 청년, 신혼부부라면 높아져가는 전세보증금에 대한 대출 이자부담이 고민

movewealthdaily.com

[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 - 어떻게 활용하는가? / 월세 탈출의 열쇠가 되다]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청년 지원 - 월세 탈출의 열쇠가 되다

“청년 전세대출? 나랑 상관없는 줄 알았는데… 월세 탈출의 열쇠가 되다”(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과 현실 후기 사이)주거 비용.. 전세 살면 줄일 수 있을까? 청년들에게 있어서 독립을 하

movewealthdaily.com

[2025년 바뀐 청년 LH전세임대주택 총정리 - 자격, 신청방법, 신청기간, 매물검색, 효과, Q&A]

 

2025년 청년 LH 전세임대주택 총 정리 (자격,신청방법,신청기간,매물검색,비용 예시,Q&A)

1.  2025년 청년 전세임대주택 조건2025년에도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전세임대주택 지원 제도는 많은 분들이 주목하는 정책입니다. 주거 비용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movewealthdaily.com

댓글